자유게시판

자유

SKT 사태를 라테일 해킹과 연결짓는 추측의 비현실성

사진 New
대표 캐릭터
이리스
에퀴테스
세이버
527
0

2025년 상반기. 다수의 유저가 해킹을 당하는 일이 발생함.

공교롭게도 그 당시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가 일어나면서

모 유튜버가 SKT 사태로 인해 라테일 해킹이 의심된다는 영상을 업로드함.


 


해당 유튜버의 태도

'SKT 유심 해킹 사태 여파인가? 라테일 계정 해킹 피해가 급증'이라는 제목을 씀.

'SKT 해킹'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해서 나온 정보 이미지를 예시로 듦.

'뭐가 원인인지 모른다'며 해당 계열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음을 발언함


라테일 공식 입장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놀라운 이야기 라테일 입니다. "■■■" 가족님의 영상이 라테일 공식 홈페이지

라테일 추천 영상에 소개되었습니다. 라테일을 위해 소중한 콘텐츠를 제작해주시어 감사의 말씀을 전해드립니다."






유튜버는 관련 정보를 수집/정리하여 객관적 정보 전달을 하는게 아닌 주관적인 시점에서 추측하여 신빙성이 부족함.

라테일 공식은 사실관계보다는 유튜버의 발언에 힘을 실어줌과 동시에 간접적인 지지를 드러냄. 

허나, 영상 하단 댓글만 보더라도 당시 KT사용자 또한 해킹을 당했다는 내용을 보면 이미 가설에 오류가 있음이 드러남.


게다가 게임이라는 한정된 영역이란 전제를 걸어도, 그런 역량을 가진 해커가

스팀 계정이나 환전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인기/인지도를 가진 게임이 아닌 라테일에 국한된 이유에 대한 설명이 부족함.    

 

 

 

 

 

2025년 하반기. KT와 LG 통신사의 해킹 의혹이 있으며, SKT때와는 다르게 실질적인 

피해가 드러나고 있음에도 라테일의 해킹 피해 사례는 보이지 않는 상태.

 

누군가는 그 때 당시보다 라테일의 보안이 한 층 강화되서 사전에 막았다고 반론할 수 있음.

하지만 하반기 통신사 해킹 피해로 드러난 것은 해커가 통신사 정보를 취득하여 무엇을 하는지 알 수 있음.


현금화하는 과정에 공식서버를 필수로 거쳐야하며,추적이 붙기 용이한데 비해 가치 보존이 불확실한 게임 재화보다는

직접적인 현금 결제, 원격 제어, 공인인증서, 공공기관 국룰 번호에 접근을 시도함.

유의미하며 명확한 이익이나 추가적인 범죄 활용에 필요한 정보를 노리는 것이 드러남.

 

해커들의 행동 원리를 생각하면 라테일 게임 재화는 통신사 정보 접근이라는 높은 위험을 감수할 만한 가치가 없는 대상임. 

영상 하단에 있는 "얼마나 할 게 없으면 라테일을?"이라는 댓글같은 반응이 일반적임.

 

 

 

 

 

해당 영상 제작의 의도에 맞게 공익성은 유지하되,

설득력이 부족한 추측으로 이뤄져 신빙성이 떨어지는 내용 전달에 대한 정정이 필요하며,

공식의 무책임한 태도 또한 바로잡아야 한다고 생각함. 

MOTP 인증번호